docker (3) 썸네일형 리스트형 container가 생성되는 과정 (2) - file system https://almostgeneral.tistory.com/16 ( container가 생성되는 과정 (1) - computing resource ) 에 이어서 2번째로 file system이 어떻게 생성되고 할당되는지 알아보자! Docker의 File System docker는 UFS(Union File System)기반으로 동작한다. UFS? UFS는 여러 개의 파일 시스템을 하나의 파일 시스템으로 취급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 흔히 Container와 Image의 차이를 Linux에 비유하여 아래와 같이 표현한다 Image - Binary Container - Process Container 생성 시 base image를 이용하여 container를 생성하고, 생성 이후에 User가 정의한 여러 .. container가 생성되는 과정 (1) - computing resource Host와 (논리적으로) 분리된 환경에서 동작하는 container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서 생성된다. 어떻게 가능한 것일까? 실제로 물리적인 서버에서 동작하는 process이면서, 별도의 resource를 가지고 network 환경까지도 분리하여 동작이 가능한 것인가..!? (마치 다른 서버에서 동작하는 것 처럼!?) 나와 비슷한 궁금증을 갖고 있는 분들에게 이번 게시물이 도움이 되길 바란다. linux namespace? linux에서 namespace는 프로세스를 실행할 때, 시스템의 resource를 분리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이다. 일반적으로 linux에서 process를 실행할 때, 부모 process인 pid 1가 속해있는 namespace와 같은 namespace에서 동작을 하는.. mac에서 docker-machine + minikube를 활용해 k8s cluster 만들기 ! 이전에 minikube+katacoda를 이용한 k8s cluster만들기 라는 게시글을 작성했었는데 (https://almostgeneral.tistory.com/1) minikube+katacoda 이용해서 kubernetes 환경 구성 집에서 kubernetes cluster를 만들기엔 너무 번거로워 k8s니 뭐니 얘기하길래 설치해서 공부하려니 필요한 게 너무 많아 어려움을 겪는 (나같은) 사람들을 위해 작성한 게시글 minikube+katacoda를 이용하 almostgeneral.tistory.com 아무레도 local 환경에 만들어두는게 장차 좋을것같아서 다시 작성한다 ! 우선 minikube를 사용해서 k8s cluster를 구성하려면 docker가 설치되어 있어야한다. 하지만, mac은 l.. 이전 1 다음